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랜만에 보험 콘텐츠로 찾아왔어요~🙇♀️🙇♂️
이번엔 산부인과 실손보험에 대해 여러분들이 궁금했던 점들을 한 번에 해결하기 위해 준비해봤어요. A부터 Z까지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정리해드릴게요~😁
📌 오늘의 주제
▪ 산부인과 진료, 실손보험 가능할까
▪ 적용되지 않는 산부인과 진료 항목은?
▪ 임신, 출산도 실손 청구 가능한 경우가 있다?!
▪ 초음파 검사, 건강보험 보장 범위는?
여성이라면 대부분 한 달에 한 번은 꼭 겪는다는 월경(생리)!
이때 사소한 생활 습관 변화나 스트레스에 따라 월경불순(불규칙한 월경/생리 증상)이나 극심한 생리통 등 관련 질환이 생기며 우리 건강의 적신호가 나타나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대부분 증상이 미미하거나 생활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산부인과는 진료비가 비싼데도 불구하고 실손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다고 여겨 그냥 지나치기 쉽습니다.
하지만 정말 산부인과는 실손보험 적용을 받지 못할까요?🤔
러블리 D양의 고민되는 하루🙄
러블리 D양은 요즘 한 가지 걱정이 생겼다. 매달 주기적으로 하던 생리를 한 달 반가량 넘게 멈췄다는 것.
어젯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약국에서 사온 임신 테스트기를 해보았지만, 임신은 아니었다. 요새 늘어난 업무량과 비례해 줄어든 수면 시간이 문제였던 걸까, 아니면 증가한 카페인 섭취가 문제였던 걸까.
곰곰이 그 요인을 찾아보는 러블리 D양의 뒤에서 몸에 이상이 생긴 건지 걱정 된다며 사랑꾼 A씨가 병원 진료받을 것을 제안했다. 하지만 러블리 D양은 왠지 모르게 주저하는 마음이 생긴다. 산부인과 방문 후 받는 여러 검사 비용이 생각보다 부담이 되기 때문.
“실손보험만 된다면 부담이 조금 줄어들 텐데…….”
가지고 있는 실손보험으로 산부인과 진료비 보상을 받을 수 없을까?

산부인과 진료, 실손보험 가능할까
불규칙한 월경 증상으로 산부인과에 내원했어요
병원에서 자궁경부 염증 진단받았어요
모든 실손보험은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진료는 보장이 불가능하고 오직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진료의 경우 보장이 가능하다는 기준을 가지고 있는데요. 산부인과 진료의 경우에도 이 기준이 적용되어 예방 목적이 아닌 치료의 목적이라면 실손보험 청구가 가능하다는 사실!
불규칙한 월경 증상이 반복되어 산부인과 내원했는데 질병코드 때문에 실손 보장에서 제외되었어요.
다만 해당 치료가 실손보험에 적용이 되는 질병코드인지 아닌지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월경불순으로 병원에 내원했음에도 불구하고 질병코드가 ‘월경불순’이 아닌 보장에서 제외되는 ‘일시적 무월경’과 같은 질병코드로 진단받는다면 실손보험 적용에서 제외될 수 있답니다.
적용되지 않는 산부인과 진료 항목은?
임신 중 산부인과 진료는 보장받지 못하나요?
요실금은 실손보험에서 제외되나요?
그렇다면 보장을 받지 못하는 진료 항목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크게 임신, 출산, 요실금, 비만 이렇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특히 임신 관련 치료에 속하는 불임 검사,불임 수술, 불임 복원술, 보조생식술, 인공수정, 양수검사, 기형아 검사, 철분제 등의 영양제 및 영양수액은 실손보험 청구를 할 수 없다는 것! 또한 많은 분이 헷갈리시는 진료 항목 중 ‘요실금’은 대표적인 실손보험 보장 제외 항목으로, 아쉽게도 치료에 대한 보상을 받지 못한다는 것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제도’ 활용하기
💬 여기서 잠깐!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제도’를 활용해요.
실손 적용이 되지 않아 임신 출산 관련 진료비가 부담이시라고요? 임신이 확인된 임산부에게 진료비를 지원하는 건강보험 제도를 이용해보세요.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제도란, 관련 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건강한 태아를 분만 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에서 지원하는 제도인데요. 해당 지원 제도를 통해 산부인과에서 급여, 비급여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
임신 1회당 60만 원 지원을 받을 수 있고, 신청 방식은 산부인과에서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 및 임신 확인서’를 발급받아 ‘국민행복카드’ 발급이 되는 금융사를 선택하여 신청하면 된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국민행복카드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http://www.voucher.go.kr/voucher/pregnancy.do
임신, 출산도 실손 청구 가능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임신 및 출산도 적용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크게 2가지 경우를 살펴볼까요?
- 단체보험에 가입된 경우
회사에서 가입하는 단체 실손보험의 경우 대부분 출산 확장 특약이 가입된 경우가 많아 출산 관련 통원 및 입원 치료비를 한도 내에서 보장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다만 이 경우에도 임신 관련 치료에 속하는 불임 검사,불임 수술, 불임 복원술, 보조생식술, 인공수정, 양수검사, 기형아 검사, 철분제 등의 영양제 및 영양수액은 보장하지 않습니다. 만약 단체보험을 가지고 있다면 내가 가입된 단체보험 속 출산 확장 특약이 가입되어 있는지 한 번 확인해보고 해당 특약을 이용하면 좋겠죠? - 태아보험 속 ‘임신 질환 실손 입원 의료비 보험’에 가입된 경우
임신 중에 곧 태어날 아이를 위해 미리 가입하는 보험을 태아보험이라고 하는데요. 태아보험에 가입할 때 특약 사항으로 ‘임신 질환 실손 입원 의료비 보험’이라는 것을 추가 가입할 수 있답니다. 이 특약이 있다면 임신 중 입원 관련 치료비는 보상받을 수 있다는 사실!
(💬 특약 관련 자세한 사항은 가입한 보험사에서 확인해보세요.)

초음파 검사, 건강보험 적용 범위는?
산부인과에서 받는 초음파 검사 비용이 너무 부담스러워요.
초음파 검사도 건강보험 적용이 되나요?
2020년 2월부터 초음파 검사도 건강보험 적용이 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해 산부인과 초음파 검사 보장 전면 확대를 진행한 것인데요. 여성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인 월경불순, 자궁근종 등 자궁이나 난소 이상을 발견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검사 방법이 초음파 검사입니다. 하지만 불과 1~2년 전까지는 4대 중증질환에만 제한적으로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산부인과에서 해당 검사를 받고 냈던 진료비는 우리에게 꽤 많은 부담을 주곤 했는데요.
하지만 이제는 걱정하지 마세요. 건강보험 적용으로 산부인과 초음파 검사 의료비 부담이 2분의 1에서 4분의 1까지 줄어들었다는 사실! 이제는 망설이지 않고 진료받으러 갈 수 있겠죠?😁
.
.
.
오늘은 산부인과 진료 시 실손 청구가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 그리고 예외적으로 청구가 가능한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어떠셨나요? 조금 도움이 되셨나요?
가지고 있는 실손보험, 메디패스와 함께 꼼꼼히 살펴보고 건강한 의료 생활 되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만 마칠게요. 다음에 또 만나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