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제
1. 응급실 청구 서류는 이렇게 준비해요.
2. 응급실 진료, 실손 보장 가능한가요?
3. 청구 전, 실손 가입 시기를 반드시 확인해요.
4. 나는 과연 응급환자? 비응급환자?
응급실 진료, 실손 보장 가능한가요?
여러분은 응급실 이용 후 실손보험 청구를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퇴근 후 병원 진료 시간을 놓쳐버렸거나 갑작스러운 사고 또는 한밤중 갑작스러운 아이의 고열로 인해 근처 병원 응급실을 찾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응급실 진료비는 가입 시기에 따라 보장이 가능할 수도, 불가능할 수도 있기에 꼼꼼히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2021년 7월 도입된 4세대 실손보험은 응급실 진료 보장 내용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실손 청구 전 반드시 확인을 해봐야 한다는 사실!
지금 바로 알아볼까요?
회사원 패스씨는 대리 육아 중👶
기분 좋은 일요일, 패스씨는 지금 정신이 없다.
갑작스레 사정이 생긴 패스씨의 여동생이 세 살 된 자신의 아이를 패스씨에게 잠시 맡기고 갔기 때문. 더군다나 이유 없이 우는 아이로 인해 패스씨는 진땀이 흐른다. 겨우 아이를 어르고 달래며 잠을 재우는 데 성공한 패스씨. 이제 한숨 돌리나 싶었는데… 한 시간 뒤, 아이의 몸이 뜨겁게 열이 오르기 시작한다.
일요일 이른 아침이라 병원 문이 거의 다 닫았을 텐데… 패스씨는 응급실을 가기로 마음먹었다. 그러고 보니 아이에게 보험을 들어 놨다고 했던 것 같은데…
응급실 진료, 실손 청구 가능할까?
응급실 청구 서류는 이렇게 준비해요.
먼저 응급실 실손 청구 서류는 크게 3가지가 필요합니다. 진료비 영수증, 진료비 세부내역서 그리고 응급실 외래 진료 기록지를 준비해주세요!
📌 응급실 실손 청구 시 필요 서류 3가지
1. 진료비 영수증
2. 진료비 세부내역서
3. 응급실 외래 진료 기록지
여기서 응급실 외래 진료 기록지란, 응급실을 이용하면 병원에서 의무적으로 기록하고 작성해야 하는 서류인데요. 이 서류는 필수로 준비하지 않아도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심각한 상해나 질병으로 응급실을 찾아왔거나 고액의 병원비가 나왔을 경우 보험사에서 추가로 요청할 수 있으니 만약을 대비해 미리 준비하면 좋답니다.

청구 전, 실손 가입 시기를 반드시 확인해요.
가입 시기에 따라 청구 가능 여부가 크게 바뀌는 응급실 진료,
아래 체크리스트를 통해 과연 나는 응급실 실손 청구가 가능한지 알아볼까요?
3가지 항목 중 자신이 어디에 속하는지 체크해보세요! 내가 속한 항목에 따라 응급실 진료 실손 청구 가능 여부가 크게 달라진답니다.

✅ 2016년 이전에 가입했나요?
2016년 이전 실손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응급실 진료에 대해 모두 실손 청구가 가능하답니다. 보험사에서 요청하는 청구 서류만 잘 준비한다면 준비 끝!
✅ 2016년 1월 이후 가입했나요? (단 4세대 실손 제외)
4세대 실손을 제외한, 2016년 1월 이후 실손보험에 가입되어 있으신가요? 만약 그렇다면,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에서 비응급 환자로 분류되었을 때는 보장받을 수 없답니다. 일반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았거나, 응급환자로 분류되었을 때만 보장받을 수 있다는 사실!
✅ 4세대 실손으로 전환 또는 새롭게 가입했나요?
(개선 전) 비응급환자의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이용료 보장 제외 → (개선 후) 권역 응급의료센터 포함
4세대 실손보험부터 보장 내용이 새롭게 바뀌었습니다. 이제는 상급종합병원 응급실뿐 아니라 권역 응급의료센터에서 진료를 받은 비응급 환자는 실손 보장을 받을 수 없게 되었는데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실손보험을 2021년 7월부터 새롭게 도입된 4세대 실손보험으로 전환했거나 새롭게 가입한 분이라면 이점, 꼭 기억해주세요.

질문 있어요!🙋♀️
✔ 체크 포인트 1. 상급종합병원이란?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하는 전국의 500병상 이상의 큰 규모를 지닌 병원을 의미하는데요.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대학병원이 이에 속한답니다.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된 병원은 전국에 총 45곳으로 자세한 목록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 체크 포인트 2. 권역 응급의료센터란?
치료가 시급한 중증응급환자의 응급의료를 중점으로 수행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장관이 권역별로 지정한 상급종합병원, 또는 300병상 이상의 병원을 의미한답니다.
권역 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병원은 전국에 총 39곳으로 자세한 목록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나는 과연 응급환자? 비응급환자?
그렇다면 제가 응급환자인지, 비응급환자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응급실 진료 후 나의 실손 가입 시기, 진료받은 병원은 모두 확인했는데 내가 응급환자인지 비응급환자인지 헷갈리시나요?
응급실 진료 후 자신이 응급환자인지 아닌지를 확인 하는 방법은 간단한데요.
바로 진료비 영수증 속 급여 항목에 적힌 본인부담금을 확인하면 된답니다. 만약 급여 항목에 ‘전액 본인부담금’이 적혀 있다면 비응급환자, 전액 본인부담금이 없다면 응급환자라는 것!
이제 헷갈리지 않고 바로 확인할 수 있겠죠?

오늘은 2021년 새롭게 도입된 4세대 실손 속 바뀐 응급실 보장 내용을 포함한 가입시기별 응급실 실손 청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어떠셨나요? 도움이 되셨나요? 청구 전 미리 자신의 실손보험 가입 시기가 언제인지, 진료받은 곳이 상급종합병원 또는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병원인지, 내가 정말 응급한 상태였는지를 미리미리 확인하는 것 잊지 마세요!
그럼 다음 콘텐츠에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