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디블록 팀입니다. 노드 검증 오퍼레이터 및 코스모스 SDK기반의 인프라 툴을 제공하는 코스모스테이션(Cosmostation) 월렛이 메디블록 블록체인을 공식적으로 지원합니다. 추후 메인넷 업그레이드 이후, Cosmostation 앱 월렛을 통하여 메디블록 코인(MED)을 스테이킹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메디블록 코인(MED)을 Cosmostation 앱 월렛에 보관하면 좋은 점
Cosmostation 앱 월렛에 메디블록 코인(MED)을 보관할 수 있으며, 검증인 투표 및 위임으로 블록 생성에 기여해 보상(MED)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스테이킹을 초반에 참여하여 빠르게 네트워크에 기여를 시작할수록 보상의 양은 더 커지게 됩니다.
스테이킹 시작 일정
스테이킹은 메인넷 업그레이드 이후 시점에 가능해집니다. 메인넷 업그레이드 일정은 8월 11일로 결정되었습니다. 거래소의 상황에 따라 메인넷 업그레이드에 따른 입출금 금지가 이루어지니, 이는 추후각 거래소의 공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이후 메디블록 코인 스테이킹 기능을 포함한 새로운 버전의 Cosmostation이 출시되면, 그때부터 코인(MED)을 스테이킹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메인넷 업그레이드 이후 새로운 버전의 Cosmostation 출시는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의 검수 기간(최소 하루~일주일)에 따라 달라집니다.
스테이킹을 위한 사전 준비
Cosmostation 앱 내의 스테이킹 및 위임(delegate) 기능은 아직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Cosmostation 앱 월렛에 MED 지갑을 생성한 후 MED를 입금하여 미리 스테이킹 등을 준비해두실 수 있습니다. 아래 정책 및 가이드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스테이킹 전 알아야 할 사항 및 정책
▪ 메디블록 코인(MED)을 스테이킹 시, 연간 이율(APR,Annual Percentage Rate)는 약 7%입니다. 이 수치는 단순 계산을 통해 도출된 예상 이율이기 때문에 해당 이율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또한, validator의 수수료율에 따라 APR은 변동됩니다.
▪ 메디블록 코인(MED) 스테이킹 해제(unbonding) 시, 3주(21일)동안 해당 MED가 동결됩니다. 따라서 해당 기간동안에는 입출금이 불가하고, 스테이킹에 따른 보상도 받을 수 없습니다.
▪ 검증자(validator)가 네트워크에 악의적인 행위를 하거나 오랜 시간 오프라인 상태에 빠져 검증에 문제가 생기면, 그 대가로 자산을 슬래싱(Slashing) 당하게 됩니다. 이때, 해당 검증자에게 코인을 위임한 위임자(delegator)도 자산을 잃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중하게 신뢰 가능한 검증자에게 자신의 코인을 위임하고, 주기적으로 검증자의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 자신이 위임한 검증자가 신뢰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다른 검증자에게 즉시 재위임 가능합니다. 단, 재위임한 것을 또 재위임하려면 21일을 기다려야합니다. 따라서, 신중하게 검증자를 선택해야 합니다.
▪ 위임자는 이러한 위험을 분산시키 위하여, 동시에 여러 명의 검증자에게 분산시켜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코스모스테이션 사용 가이드(지갑생성, MED 입금)

-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에서 코스모스테이션(Cosmostation)을 다운받습니다.
- 앱을 실행하고, [지갑 생성]을 누른 후, [메디블록 메인넷]을 클릭해주세요. panacea로 시작하는 지갑 주소를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세팅하면 니모닉 단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니모닉 단어를 안전하게 메모해둔 후, [지갑 생성하기]를 눌러주세요.
⚠️ 니모닉 단어는 지갑 복구 시 사용되며, 절대 분실하거나 잊어서는 안됩니다. 스크린샷 등으로 저장하면 외부 유출이 우려되니 단어는 오프라인으로 적어 본인 외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별도 보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해당 니모닉 단어가 외부로 유출되면 지갑 해킹으로 자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추후 다른 기기에서 지갑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니모닉 단어로 지갑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꼭 별도로 백업을 해야합니다. - 지갑이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습니다. MED 입금은 최상단 [내 주소]에 나와있는 panacea로 시작하는 주소로 입금을 할 수 있습니다.
⚠️ 거래소 등 타 지갑에서 송금할 시, 보내는 주소가 panacea로 시작하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QRC20 MED, ERC20 MEDX는 코스모스테이션 메인넷 지갑으로 입금이 불가합니다. - 코스모스테이션에 입금한 MED를 다시 다른 지갑으로 보내려면, 우측 하단 파란색 로켓(send)버튼을 눌러 송금을 할 수 있습니다.
- 코스모스테이션 사용 방법에 대한 더욱 자세한 가이드는 아래의 문서를 참고해주십시오.
* 코스모스테이션 가이드 링크 : https://www.cosmostation.io/files/cosmostation_guide_app_ko.pdf
앞으로도 메디블록은 탈중앙화된 의료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산을 잃을 수도 있는 겁니까? 검증자가 슬레싱 당하면 무조건 잃는 것입니까?
자산을 잃을 가능성이 있으면 전 위임은 절대 못 할 것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조만제님. 문의주신 내용 한번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자산을 잃을 수 있습니다. MED를 위임한 검증자가 네트워크의 악의적인 행동을 하면 검증자와 위임자 동시에 5% 슬래싱 되며, 통신에 실패할 경우 (downtime 발생) 0.01%가 슬래싱 됩니다.
검증자의 물량이 더 많아서 손해가 큰 만큼, 검증자들은 네트워크에 합류한 이상 자신의 자산을 보전하기 위하여 노드를 잘 운영하기 위하여 노력할 것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타 네트워크에서 슬래싱이 이뤄졌던 경우가 있었으므로, 신뢰가능하며 타 네트워크에서도 노드 경험이 있는 검증자에게 MED를 위임하는 것을 장려드리기 위하여 주의사항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멋집니다…3년넘게 보유중입니다..
임두현님, 응원 감사드립니다.
밸리데이터의 액션으로 코인을 잃을 수 있는데 어떻게 스테이킹을 하나요? 너네들이 이상한 밸리데이터 선택했으니 너네 잘못이야 이럴거 같은 글인데
안녕하세요 홍콩스나이퍼님. 문의주신 내용 답변 드리겠습니다.
MED를 위임한 검증자가 네트워크의 악의적인 행동을 하면 검증자와 위임자 동시에 5% 슬래싱 되며, 통신에 실패할 경우 (downtime 발생) 0.01%가 슬래싱 됩니다.
검증자의 물량이 더 많아서 손해가 큰 만큼, 검증자들은 네트워크에 합류한 이상 자신의 자산을 보전하기 위하여 노드를 잘 운영하기 위하여 노력할 것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타 네트워크에서 슬래싱이 이뤄졌던 경우가 있었으므로, 신뢰가능하며 타 네트워크에서도 노드 경험이 있는 검증자에게 MED를 위임하는 것을 장려드리기 위하여 주의사항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스테이킹은 리스크가 없는 투자 상품이 절대 아니며, 무조건적인 보상을 보장드리지 않습니다. 이 점 참고하시어 결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좀 더 자세한 slashing 기준을 알려주세요.
slashing 이 시작되는 downtime 기준, 이후 0.01% 씩 차감되는 시간단위가 궁금합니다.
panacea-core 의 정상동작을 모니터링 할 방법도 알려주세요.
ps. 구글로 로그인을 하면 댓글을 못달고 오류납니다.
슬래싱 기준에 대한 내용은 https://medibloc.gitbook.io/panacea-core/resources/validator-faq#what-are-the-slashing-conditions 에서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0.01%씩 차감되는 단위는 따로 없습니다. 지속적으로 slashing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downtime 발생 시 해당 검증자는 문제 해결시까지 jailed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네트워크를 확인하는 확실한 방법은 Join the network 가이드에 따라 직접 full-node를 띄운 후 block sync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그 외로는 https://api.gopanacea.org REST API를 이용해 블록체인 상태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REST API 문서 참고) 다른 방법으로는 https://explorer.medibloc.org를 참고하는 것입니다. 기술적인 부분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질문 사항은 support@gopanacea.org 로 부탁드립니다.
코스모스테이션에 지갑 생성하고 바로 MediBloc Wallet에서 송금했는데 안되네요…실패 했다는 로그도 없구요…
안녕하세요, 조만제님. 문제 내용 조금 더 자세하게 기술하여 support@gopanacea.org 로 이메일 전송 부탁드립니다.
메디 처음 나왔을 때부터 지금까지 가지고 있는데요
스테이킹하는데 있어서 검증자를 어떠한 방법으로 안전한가를 판단하나요?
그리고 위험 부담없는 방법으론 스테이킹이 불가능한건가요?
예로 밀크팩은 자사앱에서 안전하게 맞기만 이자를 주는 방식인데 메디는 이러한 방법은 없는건지요?
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소액 보유자는 검증자가 액수가 더 많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겠지만 저처럼 보유 수량이 많은 분들은 부담이 가네요
안녕하세요, 김미경님. 검증자를 어떠한 방법으로 안전한가 판단하는 방법은 추후 공지를 통해 안내드리겠습니다. 메디블록은 Cosmos SDK 기반으로 설계되어 스테이킹 정책도 Cosmos의 정책을 따릅니다. 또한 슬래싱은 코스모스나 테라, 그리고 이더리움, 테조스, 하모니, 폴카닷, 셀로 등 다른 암호화폐 프로젝트들도 사용하고 있는 정책입니다. 이는 노드 운영자들에게 네트워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강조하는 패널티, 책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1일 메인넷 이후 코스모 스테이션에 스테이킹 관련 메뉴가 뜨는건가요? 아니면 지갑에 메디 보유시 자동 스테이킹이 되는건가요? 우선 지갑으로 보내져서 이동한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코스모스테이션 업그레이드 이후 Delegation 메뉴가 활성화되는겁니다. 지갑에 메디 보유시 자동 스테이킹 되지 않습니다.
어제 저녁부터 wallet.gopanacea.org에 로그인시도하는데 unable to connect to the node뜨고 새로 지갑생성시 계속 unable to connect to the node뜨는데 조치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우정님. 현재 월렛 오류 사항 모두 수정되어 정상적으로 지갑 사용 가능합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메인넷 업그레이드 전 미리보내놓은 메디코인이 코스모스테이션 앱 월렛에서 갑자기 없어졌네요?? 업그레이드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인지 오류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목님. 앱 업데이트 후 재확인 부탁드립니다.
다른노드로 재위임을 하려고했는대 처음이라 잘 몰라서 위임철회를 해버렸는대 21일을 기다려야되는건가요…위임철회를 취소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체인 특성상 위임철회는 취소할 수가 없습니다. 해당 스테이킹 물량은 21일후에 스테이킹과 입출금이 가능해집니다. https://www.cosmostation.io/files/cosmostation_guide_app_ko.pdf 스테이킹시 가이드를 꼭 숙지해주시기 바랍니다.
코스모스테이션 이자 지급이 예상지급보다 60%밖에 지급이안됩니다. 안내나 동의같은건 없었습니다.
스테이킹 업체 선정이 잘못된거같습니다.
코스모스테이션 사기 수준입니다.
안녕하세요, 스테이킹이자님. 해당 이슈 확인 결과 공유드립니다. 패너시어는 1초에 1개 블록을 생성한다고 세팅이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에서 많은 validator 들이 들어오며 통신과 합의에 들어가는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었고, 따라서 실제론 2초당 1개의 블록이 생성되고 있습니다. 기존 예상 수치보다 블록이 2배 느리게 생성되니, 말씀하신 것처럼 예상 지급 수량의 반정도만 이자가 지급되는 것입니다. 코스모스테이션에서 제공하는 예상 이자는 ‘1초에 1개 블록을 생성한다’는 가정 하에 계산된 수치입니다. 따라서 실질 블록 생성 시간과 맞지 않아 오차가 생기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하드포크가 필요합니다. 패너시어 블록체인에 블록이 1초가 아니라 2초당 1개씩 생성되고 있다고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는 실제로 체인을 운영해보기 전까진 실질 블록생성 타임을 예상하기 어려워… 더 보기 »
메디블록은 AMA를 진행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현재로서는 AMA 진행할 예정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이폰을 이용해서 스테이킹하고 있는데 검증인 상세 항목에서 모든 항목을 터치하면 사용가능수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뜹니다. 현재 이자로 받은 수량이 4000개 넘게 있는상태라서 진짜 수량이 부족한건 아닙니다. 안드로이드 폰의 경우 이런 문제가 없는데 아이폰 앱자체의 오류인지 아니면 검증인이 일정기간동안 락을 걸수 있는건지 확인부탁드립니다. 현재는 위임철회하기를 선택해도 동일 메세지가 뜨는 상황이라 자산자체가 동결된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동혁님, 위에 답변 드린 내용 확인해주시고, 아래의 내용도 함께 확인 부탁드립니다.
지갑 접속 시 – [사용 가능 수량]이 0MED 인 경우, 이자 받기, 위임 철회 포함 모든 액션이 불가합니다.
[이자량]에 4000MED가 있다 하더라도, [사용 가능 수량]에 수수료로 사용할 MED가 없으면 사용가능 수량이 충분하지 않다는 메시지가 뜨게 됩니다.
위임철회 후, 21일이 지나기 전에 위임철회를 취소 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성민님. 체인 특성상 위임 철회를 취소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MEDI! 의료정보플랫폼의 최고가 되시길 바라며 질문 드립니다.
스테이킹시 수수료 최소 낮음 평균이 있는데 이건 무엇을 의미하는 건가요?
검증자들이 대부분 해줍니다. 소수의 검증자만이 해줍니다. 그런말이 써있던데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DKS 님.
검증인들은 각자 노드에 대해 수수료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낮은 수수료로 책정할 경우, 해당 수수료보다 낮게 설정한 검증인 노드에서 처리해줄 때까지 기다리게 됩니다.
따라서 저렴한 TX 수수료는 일부 검증인만 처리한다는 말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해하기 쉽게 말씀드리자면, 저렴한 TX 수수료 > 일부 검증인만 처리 > Transaction 처리 및 승인에 들어가는 시간이 더 소요된다
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아 그리고 코스모앱에 검증자 중에 DOC PALETTE나 MEDI LIMIT 같은 검증자들은 MEDI 에서 운영하는 검증자인지요??
안녕하세요, MediBloc Limited 는 메디블록 지브롤터 법인이 운영하는 검증자이며, Dr.palette와 메디패스는 주식회사 메디블록에서 운영하는 검증자입니다.
검증인들중 Medi bloc limit(숫자) 나 DR.palette같이 이름 되어있는 검증자들은 메디블록에서 운영하는 검증자 인가요?
안녕하세요, MediBloc Limited 는 메디블록 지브롤터 법인이 운영하는 검증자이며, Dr.palette와 메디패스는 주식회사 메디블록에서 운영하는 검증자입니다.
질문있습니다..!
어제부터인가? 메디 초당 생성 갯수가 늘었나요?
월 이자량이 바뀌고, 실제 이자량도 훨씬 많아진듯해서요..!
안녕하세요, 임두현님. 기존 inflation rate이 저희가 예상했던 수치보다 낮았고, 이를 본래 의도했던 수치로 높이기 위한 거버넌스 제안이 있었습니다. 이 영향으로 이자량에 변화가 있는 것입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코스모스테이션에서 이자 즉시 위임할 때 (항상 tiny든 low든 같은걸 선택할 때) 위임하는 이자량에 상관없이 tx fee가 1med 정도로 동일한데 위임량에 상관없이 fee 수량이 고정되어 있는건가요?
(그렇다고 하면 자주 위임할수록 수수료가 많이 나가는 구조라 손해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게랑님. 일반적으로 위임량에 상관없이 말씀하신대로 transaction fee는 ~3MED 정도까지 필요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수수료가 매번 나가니, 이자량에 따라서 다소 다르겠으나 하루에 한 번 정도 재위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메디블록에 대한 궁금한 질문을 몇 가지 드립니다. 질문 1. 코스모스테이션 상 위임수익율을 보면 실제 블럭타임 기준 수익율(1/12일 기준 67.43%)과 체인 타겟 수익율(65.02%)이 있는데 두 개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스테이킹한 코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면 인플레이션 비율이 높아지고, 반대로 스테이킹한 코인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인플레이션 비율은 낮아진다.”라고 설명되어 있는데, 질문 2. 스테이킹한 코인의 비율은 어디서 확인 가능한지? 질문 3. 스테이킹한 코인의 비율에 따라 ‘인플레이션’은 어떤 숫자 범위에서 움직이는지? 질문 4. ‘위임수익율’은 ‘인플레이션’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질문 5. ‘위임수익율’도 스테이킹한 코인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건지? 질문 6. 스테이킹한 코인의 비율이 계속 높아지면 위임수익율은 몇 프로까지 감소할 수 있는건지? 질문 7. 기존에… 더 보기 »
안녕하세요, 메디투더문님. 질문에 답변드립니다. 질문 1. 5초~6초에 한번 블록이 생성된다는 가정하에 APR이 계산되는데, 이것이 체인 타겟 수익률입니다. 하지만 실제 탈중앙 네트워크의 블록 생성 주기는 다소 비규칙적입니다. 따라서 실제 APR(실제 블럭타임 기준 수익률)은 예상치인 체인 타겟 수익률과 다를 수 있습니다. 질문 2. 스테이킹한 코인의 비율은 https://mintscan.io/medibloc 에서 Bonded Token Rate을 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질문 3. 스테이킹한 코인의 비율에 상관없이, 인플레이션은 고정됩니다. 질문 4. 인플레이션이 많아지면, 그만큼 생성되는 MED가 많기 때문에, 동일한 Bonded Token Rate인 상태에서 인플레이션 수치가 커지면 수익율은 증가합니다. 질문 5. 인플레이션이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Bonded Token Rate이 높아지면, 위임 수익율이 낮아집니다. (파이를 1명이 먹을 때와, 10명이 먹을 때의 양이… 더 보기 »
안녕하세요 코스모테이션에 노드 참여 중인데 즉시 이자받기 누르면 노드가 안뜹니다ㅠㅠ 연락 좀 주세요ㅠ
안녕하세요 방주일님, 메디블록은 코스모스테이션 관리 주체가 아니기 때문에, 추후 문의사항이 생기시면 코스모스테이션측에 문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업데이트 이후 이자 즉시 위임하기를 하면 검증인이 나오질 않아 진행이 안 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방주일님, 메디블록은 코스모스테이션 관리 주체가 아니기 때문에, 추후 문의사항이 생기시면 코스모스테이션측에 문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즉시이자위임 질문입니다
예상가스량확인을 하고 즉시위임하면 수수료가 1메디정도고 그냥 즉시이자위임하면 1.75메디정도 소모되는데 이게 맞나요?
예상가스량확인 유무에 따라 수수료가 차이나나요? 그리고 최소,낮음,평균 모두 수수료가 동일하던데
그렇다면 대부분의 검증인들이 처리해주는 평균이 제일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웅성웅성님. 예상가스량 확인을 하시면 최적의 수수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소, 낮음, 평균 수수료가 동일하다면 평균으로 진행하시는 것이 트랜잭션 속도에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