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디블록 팀입니다.
메인넷 업그레이드 이후, 검증자가 활성화되어 블록 생성에 기여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메디블록 단일 스테이킹이 오픈되었고, 많은 분들의 참여로 11.96%의 MED가 스테이킹을 위해 bond 되었습니다. 그리고 IBC 활성화를 위한 온체인 거버넌스가 통과된 이후, 메디블록은 오스모시스 덱스에 상장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Incentive Pool이 활성화되어 유동성을 공급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때, 각각에 맞는 가이드를 제공해드렸으나, 다수의 공지에 여러 정보들이 분산되어 있어 많은 유저분들께서 어려움을 느끼셨으리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기존 가이드로 나갔던 내용을 더욱 보강하여 통합된 형태로 제공합니다. 가이드에 포함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메디블록 지갑 생성 가이드(코스모스테이션, 케플러)
- 코스모스테이션으로 메디블록 단일 스테이킹 가이드
- Osmosis DEX에 Keplr로 유동성 공급 가이드
- Osmosis DEX에 코스모스테이션으로 유동성 공급 가이드
- 비영구적 손실 등 각종 유의 사항
가이드가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관리자님
코스모지갑에서 메디위임중인데요
위임해지하고 철회한지가 세시간이 다 되가는데 아직 철회중이라고 나오는데 알아보실수잇나요?
안녕하세요, 김정화님. 위임 철회에는 21일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아직 철회중이라고 뜨는 것이 맞습니다. 21일이 지나면 출금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며, 그 전에는 lock된 상태를 유지합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코스모스테이션 앱으로 메디블록을 오스모시스로 IBC받기 했다가, 불가능하다고 하여 다시 IBC 보내기했습니다. 완료는 됐는데 메디블록, 오스모시스 지갑 어디에도 안들어온 상태입니다. 지원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희가 코스모스테이션 운영사가 아니기에, 직접적인 도움을 드리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아래의 코스모스테이션 주소로 스크린샷, 문제 발생한 경위 등등 정리하여 전달드리면 더 빠르게 지원을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도움을 드리지 못하여 죄송합니다. support@cosmostation.io
고생하시는 관리자님 두 가지 여쭤볼게 있습니다!
1. Mintscan에 기록되는 연 인플레이션 8.03%는 총발행량이 연 마다 8%씩 늘어난다는 말인지 궁금합니다.
아니라면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2. 또한 쟁글에 나와있는 토큰 락업 해제에 따라 토큰이 락업 해제 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Mintscan의 공급량은 7,909,035,840 개 인데 업비트나 쟁글 공시에 따른 토큰 락업해제 일정에 따라 유통 공급량은 50억 중반으로 나오니 이 부분에 대해서도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JONG K님. 연 인플레이션 부분은 말씀해주신 부분이 맞습니다. Mintscan의 공급량은 총발행량이고, 업비트나 다른 공시들에 있는 토큰 락업 해제는 ‘유통량’ 입니다. 따라서 약 30억개는 발행은 되었으나 동결되어있는 물량이며, 나머지 유통 공급량은 시장에 풀린 코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재미하나도 없네요 지갑을 만들려해도 영어를 모르니 짜증만 나네요
안녕하세요, 이경매님. 영어로 구성 되어있지만 최대한 영어를 잘 몰라도 화면 구성과 내용을 토대로 한글 가이드를 작성하였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MediBlock limited-1 에 스테이킹 중인데 강제(?)위임철회된 수량을 21일 지나도 출금가능형태가 되지않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더 자세한 사항은 이메일 알려주시면 그쪽으로 문의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support@gopanacea.org 로 자세한 문제 사항 작성하여 이메일 전송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보상으로 받은 OSMO는 어떤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건가요? OSMO를 메디블록으로 스왑해서 보내려했더니 금액이 충분하지 않다며 전송이 안되더라구요 최소로 요구하는 금액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메디황님. OSMO는 Osmosis DEX의 기축 통화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환전소같이, OSMO를 다른 코인들로 바꾸는데에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Osmosis DEX에서 MED 전송 등을 위해선 소량의 OSMO가 필요합니다. (트랜잭션 수수료)
참고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코스모스테이션 통해서 OSMO 본딩을 하고 이제 락업기간이 끝나서 풀에서 자산빼기를 진행했는데, 상태는 SUCCESS가 뜨지만 X 표시가 뜨고 실패했다는 문구가 뜨네요 어디서 조치를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황성연님.
해당 부분은 코스모스테이션 측에 문의 부탁드립니다. 그 전에, 수수료로 사용할 OSMO가 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업비트(3월25일 00시), 빗썸(출금방식만 변경중)에서 곧 트래블룰 시행하는데 코스모스테이션은에 스테이킹 중인 물량을 국내 가상자산회사로 입출금이 가능한건지?
시행초기는 국내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입출금지원예정인데 그에 따른 향후 대책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직 프로젝트 팀에서는 트레블룰 적용에 있어서 별도로 준비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거래소 등의 정책 방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나 아직 상세 계획이 발표되지 않은 상황이라 향후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공개된 내용이나 업계 분위기를 보면 우선 트래블룰을 준수하는 국내 거래소, 그리고 점진적으로 해외 거래소와의 입출금이 허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 지갑의 경우 별도의 신원 확인 절차를 거쳐 사용이 가능한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거래소의 공지사항을 지속적으로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코스모스테이션에서 스테이킹중입니다. 국내 트래블룰이 적용되면 국내거래소에서 코스모로 출금은 당연히 막힐것 같고코스모에서 국내거래소로 입금도 혹시 막히는게 아닌지 의문이 드네요
안녕하세요, 최대한님.안녕하세요.
아직 프로젝트 팀에서는 트레블룰 적용에 있어서 별도로 준비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거래소 등의 정책 방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나 아직 상세 계획이 발표되지 않은 상황이라 향후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공개된 내용이나 업계 분위기를 보면 우선 트래블룰을 준수하는 국내 거래소, 그리고 점진적으로 해외 거래소와의 입출금이 허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 지갑의 경우 별도의 신원 확인 절차를 거쳐 사용이 가능한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거래소의 공지사항을 지속적으로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디블록을 사랑하는 1인입니다!
메디블록의 발전을 언제나 응원합니다!
1) 코스모스테이션 앱 → 업비트 입금
2) 케플러 지급 → 업비트 입금
2가지 경로를 통해서 업비트에 입금을 요청했는데
‘업비트 입금메모사항’을 제가 입력을 안한 상태로 전송을 했는데,
약 2시간이 지났는데 입금이 안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혹시 우선 기다리고 있으면 되는지ㅠ안내한번 받아볼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보수님. 입금이 되지 않아 걱정이 많으실 걸로 보입니다.
케플러와 코스모스테이션등에서 중앙화된 거래소로 입금시, 메모를 꼭 입력해주셔야 입금이 정상적으로 진행됩니다.
해당 부분은 업비트 고객센터에 문의하면 해결해주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케플러 지갑(에서) → 업비트(로) 입금을 했는데
‘업비트 입금메모사항’을 제가 입력을 안한 상태로 전송을 해버렸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업비트에 문의를 하려면
제가 보낸 디지털 자산 수량 / 트랜잭션 해쉬 내역을 알아야 하는데,
케플러 지갑에서는 위 사항을 제공하고 있지 않을것으로 알고 있어서요 ㅠ
블록탐색기(?) 라는 것으로 조회를 해볼수 있다고 들은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안내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보수님. 케플러 지갑주소를 복사하여 https://www.mintscan.io/medibloc 에 들어가셔서 검색창에 입력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하단에 Transactions 에 트랜잭션 해쉬와 수량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코스모스테이션에서 업비트로 입금이 막히나요??
안녕하세요, Steven Kang님. 코스모스테이션에서 업비트 측으로 하루 100만원 이하 송금은 문제없이 진행되는 것으로 보이나, 나누어서 송금하더라도 총액 100만원을 넘는 반복적인 출금은 제한된다고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업비트의 공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궁금한게 있어요. 코인에 대해 잘 몰라서 여쭤 봅니다.
현재 코스모스테이션 에서 메디블록을 스테이킹 하고 있어요
근데 이번에 업비트에서 트레블룰를 적용하면서 입출금이 예전과는 달라요
때문에 업비트에서 메디블록 지원하는 입출금 지원 네트워크를 보면 메디블록은 메인넷이라고 나와요
그럼 여기서 메인넷은 현재 제가 스테이킹을 하고 있는 코스모스테이션 인가요?
그럼 질문 하겠습니다
질문
1.업비트에서 메디블록 지원하는 입출금 지원 네트워크를 보면 메디블록은 메인넷이라고 나와요
그럼 여기서 메인넷은 현재 제가 스테이킹을 하고 있는 코스모스테이션 인가요?
2.현재 코스모스테이션 에서 스테이킹 하지 않은 코인들을 업비트로 이동 하려고 하는데
여기가 메인넷이라면 이동 가능한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지구인님.
메디블록은 메인넷 코인입니다. 그리고 코스모스테이션은 메디블록과 같은 여러가지 메인넷 코인들을 지원하는 지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메인넷은 메디블록의 블록체인을 설명하는 특징이며, 지갑과는 상관없음을 말씀드립니다.
또한, 코스모스테이션에서 업비트로 일 100만원 이하의 MED는 전송이 가능한 점을 확인하였습니다.
하지만 100만원 이상의 입금을 분할로 하면 시스템에서 block 시키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업비트에서 메인넷 MEDX 입출금은 정상적으로 지원 중이라고 합니다.
그럼 코스모스테이션 에서 스테이킹 하는게 여기 해당 하는건가요?
코인에 대해서 잘 몰라서요.
안녕하세요 지구인님. MEDX는 메인넷 이전의 ERC20 토큰으로, 현재 메인넷 코인인 MED와는 다른 코인입니다.
코스모스테이션에서 스테이킹하시는 MED는 메인넷 코인에 해당됩니다. 감사합니다.
재위임한것을 다시 재위임하려면 21일을 기다려야한다고 써있는데 이게 재위임하고 21일 후에 재위임이 가능하다는 의미인지 재위임한것을 다시 재위임하는 곳에신청후 21일뒤에 넘어가서 락업이 걸려 스테이킹보상을 못받는다는것인지 의미를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어떤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성일님. 재위임한 시점부터 21일이 경과할 때마다 재위임 가능 횟수가 1회씩 발생합니다. 즉, A에서 B로 재위임 후, 21일간 B에서 다른 검증인으로 재위임이 불가능합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메디코인 오스모스시 스테이킹 중인데요.
오늘 아래처럼 이상한 출금 거래를 확인했습니다
저는 스테이킹 이후 출금을 신청한 적이 없습니다.
아래 입금주소도 모르는 주소이구요.
https://www.mintscan.io/osmosis/txs/DD561FBDDBF2A0CE5534F8AF04C14F21BCBB66DB2357E4B6079BDE4D9E5C6BE9
4,376.231386OSMO 가 모르는 주소로 출금이 되어 있고,
제 오스모시스 에셋 잔고 중 9000만원 정도가 사라졌습니다.
어떻게 된 것인지 확인 가능할까요?
010 구사오삼 6080
안녕하세요, 지갑 해킹과 관련하여 메디블록 팀에서는 도움을 드릴 수 없다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본인이 출금을 한 적이 없다면, 니모닉의 유출로 인해 지갑 해킹이 된 것으로 유추됩니다.
도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니모닉은 절대 핸드폰, 클라우드 등에 저장해서는 안되며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조심히 보관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osmosis 에서 스테이킹 중에 unlock을 하면 21일 후에 출금이 가능한건가요?
https://www.mintscan.io/osmosis/account/osmo1xwwq6l4j6gry8pfq0aa3y6235x57eqylayud55
위 거래 내역을 보면 unlock 을 최초로 한게 14일전인데, ( 그전엔 unlock 시도 없었음)
2일전에 출금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상현님. Osmosis는 MED와 달리 스테이킹 unlock 기간이 14일입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eplr 시드 문구가 해킹당한것 같습니다. keplr 지갑에 남은 토큰을 꺼내려고 하는데요.
unbond 하고 나니, osmosis 에서 보니 5, 11,14 일 후에 unbonding complete 된다고 되어 있던데, unbonding 되는 시간은 정확히 알수 없나요? 이미 문구가 해킹당한 상황이라 이 남은 토큰마져 잃어버릴까 두렵네요. 남은 토큰 지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상현님, 확인해보니 최근 오스모시스 피싱사이트로 인하여 시드 문구를 해킹당하신 것 같습니다. 도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unbond는 LP 를 말씀하시는 걸까요, 아니면 오스모시스 스테이킹을 말씀하시는 걸까요?
우선 트랜잭션 상세페이지에 들어가면 정확한 트랜잭션 시간을 알 수 있으며, 그 시간 기준
오스모시스 스테이킹의 경우엔 14일 뒤,
LP의 경우엔 1일, 7일, 14일(선택에 따라)뒤에 언본딩됩니다.
우선 시드 문구가 탈취된 상태라, 토큰을 지키는 방법은 해커보다 빠르게 안전한 지갑으로 인출하는 방법밖에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메디블록 스테이킹 좋습니다, 하지만 코인량을 지금 같은 이율(블록당 보상)으로 계속 찍어내면 유통량이 급증해서 코인 가격이 당연히 내려가겠지요, 토큰 이코노미를 어떻게 설계하려고 이렇게 많이 찍어내는 건가요? 내가 알기로는 지금 메디블록 소비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코인 많은 사람이 당연히 이득은 많이 가져가겠지만 이거 너무한 것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메디주주님. 메디블록은 현재 연 인플레이션율 약 8%로 발행을 하고 있습니다. 이 인플레이션율은 전체 스테이킹 수량에 따라 달라지도록 설계가 되어있으며, 이는 생태계에 참여하는 검증자 및 토큰 홀더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현재의 인플레이션율은 코스모스 아톰(11%)과 비교했을 때 그리 높지 않은 인플레이션율이며, 이는 메디블록 독단적인 결정이 아닌 거버넌스 프로포절을 통해 조절이 될 수 있습니다. 메디블록 팀 역시 생태계 참여자로서 코인의 사용처를 개발하고 더 나은 토크노믹스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메디블록 팀의 2022 로드맵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https://medibloc.gitbook.io/panacea-core/overview/roadmap
인플레이션으로 계속 발행량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것이 한계점이 있을까요?
단순 무제한 발행일까요? 아니면 특정 1000억개가 정해져있다면 그 안에서 끝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임두현님. 최초에 메디블록은 ICO 당시 퀀텀 위에서 토큰을 발행하며 최대발행량 100억개를 정해두었습니다. 하지만 저희가 자체 메인넷을 구축하면서 사용한 코스모스 sdk는 최대발행량 개념이 없고, 인플레이션 개념만 있습니다. 왜냐하면 코스모스 sdk는 dpos(Delegated proof-of-stake, 위임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대 발행량은 정해져있지 않고, 인플레이션율을 통해 발행량을 조정하게 됩니다. 만약 커뮤니티에서 신규발행을 제한하고 싶다면, 인플레이션을 0%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의사결정은 메디블록이 아닌 커뮤니티에 의해 결정될 것입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소비처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인플레이션을 현재 인플레이션 8.9% 로 설정하신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메콥님. 현재 use-case가 많지 않지만, 향후 data exchange protocol이 출시되면 의료데이터 교류를 위해 다양한 곳에서 MED가 사용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 때 data exchange protocol 의 안전한 구동을 위해선 여러 validator/delegator가 참여해야하며, 그들에게 인센티브를 주기 위해 인플레이션을 설정하게 되었습니다. 향후 data exchange protocol 출시 이후엔 적정 트래픽과 그에 따른 tx fee를 추산할 수 있을 테고, 그에 맞게 Inflation rate이 조정될 수도 있습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트레블룰 때문에 현재 국내거래소에서 코스모스테이션이나 케플러 지갑으로 메디를 전송할수있는 방법이
업빗에서 메디가 리스팅된 해외거래소(게이트 등)로 보내서 거기서 다시 개인지갑으로 전송밖에 없는것 같은데 맞나요?
향후 업빗이나 빗썸과 협의를 거쳐 개인지갑 전송이 가능하게될일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하루 100만원 미만의 MED는 여전히 코스모스테이션이나 케플러 지갑으로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한번에 많은 MED를 전송하고싶으신 경우 말씀하신대로 거래소와 연결된 해외거래소를 이용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개인지갑과 거래소간 연동은 거래소 및 지갑 업체의 협업 현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저희가 말씀드릴 수 있는 부분이 없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국내거래소에서 코스모스테이션으로 출금할수 있는방법이 없습니다.
국내거래소에서 출금을 하려면 거래소를 선택해야 하는데 코스모스테이션 목록이 없어 선택할 수가 없습니다.
업빗이나 빗썸과 협의를 거쳐 코스모스테이션 개인지갑으로 전송이 가능할 수 있게 업데이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메디스테이킹님.
업비트에서 코스모스테이션으로 일 100만원 이하의 코인은 전송이 가능합니다.
화이트리스트 지갑 등록은 코스모스테이션과 거래소간의 협업 여부에 따라 달라지기에 저희가 따로 말씀 드릴 수 있는 부분이 없다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코스모스테이션 지갑을 설치하고 니모닉키를 기존 메디블록월렛에 있는 니모닉키복원하기를 선택해서 지갑을 생성하고 스테이킹을 할수있는가요, 아님 신규지갑을 생성하고 새로운 주소를 받아서 메디코인을 전송해서 스테이킹을 해야되는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J K BAEK님
코스모스테이션 앱과 기존 메디블록웹 지갑(wallet.gopanacea.org)은 서로 다른 지갑입니다. 그래서 메디블록 웹지갑 니모닉으로 코스모스테이션 앱으로 메디블록웹월렛 복구 및 사용을 하실 수 없습니다. 따라서 코스모스테이션 앱에서 메디블록지갑을 새로 만드셔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아래 코스모스테이션 앱에 메디블록 신규지갑을 만드는 방법을 첨부하니 확인해주세요.
[메디블록 웹 지갑에서 코스모스테이션 앱 월렛 송금 가이드]
https://blog.medibloc.org/timeline/notice/17523
안녕하세요 오스모시소 언본딩 이후 메디블록으로 모두다 스왑하고 그중 8000개 케플러 보낸 다음 업비트 보내려는데 왜 수수료 부족하다고 하면서 왜 안 보내지나요? 수수료는 빼고 보내려고 했습니다. 나머지 물량은 오스모시스 본딩했습니다. 뭐가 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구본웅님. keplr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 케플러 지갑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MediBloc 을 제거해주세요. (니모닉은 항상 안전한 곳에 보관해주세요.)
2. Osmosis 에 지갑이 연결되어있다면, Sign Out 을 누른 후 다시 Connect Wallet 해주세요.
3. https://app.osmosis.zone/assets 에 가셔서 MED에 deposit 버튼을 누르면 Keplr에 지갑이 다시 불러와집니다.
4. 이후 재시도 부탁드립니다.
* 지갑 니모닉 보는 방법
1. Keplr 확장프로그램 우측 상단 프로필 아이콘 선택
2. 지갑명 오른쪽 점 세개 아이콘 선택
3. [니모닉 시드 보기] 선택 후 메모장 등에 적어 안전하게 보관
바로전에 문의를 한번 드렸는데요.
메디블록 코인 들어 있는 상태로 케플러지갑 메디블록 네트워크 제거했다가 다시 등록해도 코인은 잘 들어 있겠죠?
안녕하세요 구본웅님. 우선 제가 진행하였을 때는 문제없이 같은 지갑이 불러와졌습니다. 하지만 혹시 모르니
* 지갑 니모닉 보는 방법
1. Keplr 확장프로그램 우측 상단 프로필 아이콘 선택
2. 지갑명 오른쪽 점 세개 아이콘 선택
3. [니모닉 시드 보기] 선택 후 메모장 등에 적어 안전하게 보관
이 방법으로 우선 지갑 복구 가능한 니모닉을 꼭 백업해두시고 진행해주시면 더욱 안전하게 과정을 진행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업비트로 메드코인출금사려는데 계속출금이 실패로나오네요.주소와지갑은 생성되였는데요ㅡ
안녕하세요, 이병덕님. 출금 시도하시려는 지갑이 panacea로 시작하는 지갑 주소가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자 받은걸 그대로 스테이킹 위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이자받기를 했더니 지갑에 가용가능 수량에만ㄷ 들어가고 위임된 수량은 변동이 없네요
안녕하세요, 이재호님. Cosmostation 에서 위임하기를 누르시면 ‘이자 모두 받기’와 ‘컴파운딩’이 있습니다. 여기서 ‘컴파운딩’을 해주셔야 이자 받은 것을 그대로 위임물량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코스모스테이션에 메디블록 스테이킹중에 있습니다. 위임철회 후 업비트 이동시 트래블룰 적용으로 100만원 이상은 이동 불가로 알고있는데 빗썸도 마찬가진가요? 트래블룰 없이 한번에 이전시키는 방법이 없을까요? 그리고 향후 계획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재호님. 코스모스테이션은 개인지갑으로, 아직 업비트나 빗썸 등에서 화이트리스트 지원이 되지 않아 트래블룰 없이 한번에 이전시키는 방법은 없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향후 거래소들도 개인지갑 지원을 확장할 예정이라는 것은 알고있으나, 정확히 언제 코스모스테이션이 화이트리스트 등록가능한 개인 지갑이 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담당자님 질문 드립니다.
지난 14일 돌안 LP로 묶어서 본딩 했는데요.
처음 예치할때보다 무려 16000개나 손실 되었습니다.
이럴 수도 있나요? 넘 속상 합니다~
안녕하세요, 구본웅님. DEX에서 LP 본딩 시 ‘비영구적 손실’이 발생합니다. MED가 16000개 줄었다면, LP로 묶은 다른 코인의 개수가 늘었을 것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https://medibloc.notion.site/df3302dccc1346b49c5cd153bcb2c79e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운영자님 제가 몇달간 lp 본딩을 해보니 메디가격이 내려가고 동시에 오스모 가격도 내려가고 그리고 유동성도 빠지면 많은 손해가 일어날 수 있는 걸로 보입니다.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비영구적 손실로 메디가 코인의 갯수가 줄면 다른 코인이 늘어난다 하였는데 같이 빠지면서 유동성까지 줄면 나의 원래 코인의 갯수또한 줄어들 수 도 있다. 이게 결론 인것 같은데 이게 맞게 이해한 거죠? 일반적으로 메디랑 오스모가 어느정도 가격이 낙폭이나 상승률이 다를 순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비슷하게 갈 수 밖에 없잖아요? 제가 잘 이해한게 맞죠? 즉 내가 본딩을 해도 그 기간동안 가격폭탄 맞고 유동성 다빠지면 완전 손해나는 거죠? 제가 16000개가 손실이 낫다고 저번에 말씀드린 것은 메디만 16000개가 손해난 것이… 더 보기 »
안녕하세요, 구본웅님. 해당 부분에 대하여 충분히 당황스러우셨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LP 본딩에 대해선 공지와 가이드 등에도 유의사항으로 따로 설명드린 바가 있습니다. https://medibloc.notion.site/df3302dccc1346b49c5cd153bcb2c79e 해당 문서의 Case 2를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X*Y = k (X,Y는 유동성 묶일 때 쓰인 각 코인의 수, k는 상수)식에 의하여 LP에 본딩이 된 코인의 수는 수시로 바뀝니다. 이 과정에서 두 코인 간 가격 변동률도 달랐기 때문에 오스모 코인을 다시 메디로 스왑하더라도 원래 코인 갯수가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사례는 유동성이 떨어지는 것과는 관련이 적어보입니다. 역으로 메디코인을 오스모코인으로 전부 바꿨다면 최초 본딩시의 오스모 코인의 수량보다 더 큰 수량이 나왔을 것입니다. X*Y = k 식에 의하여 오스모와… 더 보기 »
안녕하세요. 코스모스테이션에서 메디블록을 스테이킹 하고 있는 중입니다.
위임한 검증인 중 MediBloc Limited Validator 10 이 soon to be retired 라고 적혀 있는데 무슨 뜻인지 알수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이주한님. 더 많은 validator의 참여 및 탈중앙화를 위해 기존 안정성을 위해 운영중이던 메디블록의 자체 노드를 off 시킬 예정이라고 알고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Retired 안내가 붙은 노드에 위임한 수량을 다른 노드에 위임 부탁드립니다. 노드가 retired(off) 되면 가지고 계시는 물량엔 문제가 없지만, 더 이상 이자 생성이 되지 않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케플러지갑 업비트랑 연동하고 케플러지갑에있는 메디블록 업비트로 100만원 이상 입금 가능한가요?(트래블룰 관련) 업비트에 케플러지갑 등록되긴했는데 panacea로 시작하는 메디블록 주소가 아니라 cosmos로 시작하는 주소만 등록되어있는데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Han Cold Kim님. 케플러지갑과 업비트 연동간에는 cosmos 지갑만 화이트리스트 등록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케플러 지갑에서 업비트로 100만원 이상 입금은 여전히 불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정보는 거래소에 여쭤봐주는 것이 정확하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메디를 코스모스스테이션웹에서 스테이킹하고있는중입니다.. 며칠전부터 메디블록에 들어 갈려고하면 접속이 되지않습니다.. 렛저하드월렛을 이용하여 항상 접속하고있고 현재 v2.34.9최신버전으로 업글했는데도 메디지갑에 접속을 할수없읍니다.. 확인하여 주세요.
안녕하세요, 해당 내용 확인 후 다시 답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확인 후 답변 드립니다. Cosmostation Web 접속시 Cosmos Ledger App (https://support.ledger.com/hc/en-us/articles/360013713840-Cosmos-ATOM-?support=true) 을 사용하셨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Cosmostation Web이 비공식적으로 지원하던 기능이며 지난 1월18일부로 더 이상 지원되지 않습니다. 대신 1월18일부터 MediBloc Ledger App을 통해 Cosmostation Web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Cosmos Ledger App과 달리 MediBloc Ledger App은 아직 정식 릴리즈가 되지 않았으므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Ledger device에 설치 가능합니다. 1. PC에서 Ledger Live 실행 2. 설정 > 실험적 특징 > 개발자 모드 활성화 3. Ledger Manager에서 MediBloc Ledger App 설치 이때 유의하셔야할 것은 MediBloc Ledger App과 Cosmos Ledger App의 ‘주소 생성 방식’이 상이합니다. Cosmos Ledger App은 HD path m/44’/118’/0’/0’/0을 이용해 주소를 생성하는… 더 보기 »
답변에 렛저나노 하드월렛 접속이 불가하고 기존코인을 찼을수없다는하시는데
, 그것을 사전에 고지를 해줄수는없었나요? 렛저나노 지갑을 사용하여 접속을했는데 니모닉을 어떻게 찼으라는건지 이해가 가지않네요? 메디를믿고 스테이킹을 했는데 지금너무 당황스럽습니다. 하드웰렛사용자란걸 이해하시고 자세한설명 부탁드립니다.. 아쇼에 참여하여 지금까지 함께 왔읍니다 꼭찼을수있도록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관련하여 개발자분이 메일 주소로 답변 드릴 예정입니다.
저도 JKBAEK님과 같은 증상입니다. 1년여간 렛져 하드월렛으로 코스모월렛에 스테이킹 하고 있었는대 어느 순간 접속은 안되고 support@gopanacea.org 이 계정에 문의 메일 남겼으나, 5일이 지난 지금도 아무런 답변 못받았습니다. 기존 렛져 지갑의 접속 불가에 대한 공지라도 해주셨다면, 접속 가능할때 미리 지갑 파서 옮겨두면 훨씬 수월하지 않았을까요.. 위에 설명해주신 방법으로, MediBloc Ledger App 앱 설치까지는 완료 하였으나, 1. 니모닉을 가지고 계신 경우, 그 니모닉을 이용해 Cosmostation mobile app이나 Cosmostation web extension을 사용하여 Cosmos chain 지갑을 하나 만드시길 바랍니다. 그럼 그 Cosmos 지갑의 private key를 export 하실 수 있습니다. 2. 이 private key를 import 하여 MediBloc chain 지갑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Cosmostation mobile app이나… 더 보기 »
안녕하세요. 메디블록 블록체인팀입니다. 해당 방법은 공식적인 루트가 아니기에 별도 공지나 가이드로 방법을 알려드리지 않았고, 따라서 이에 대한 업데이트 사항도 별도로 안내되지 않았습니다. 아래의 방법으로 기존 지갑의 자금을 되찾으실 수 있도록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안내에 앞서 정확한 상황 설명을 드리자면, Cosmos Ledger app을 이용할때와 MediBloc Ledger app을 이용할때, 각각 생성되는 지갑주소는 다릅니다. Cosmos와 MediBloc은 엄연히 별도의 체인이기에, Ledger app의 동작 방식도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메디블록팀에서는 Cosmos Ledger app을 이용해 MED를 관리하시도록 가이드 드리지 않았습니다. 물론 두 Ledger app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사용하시는 경우 기술적인 문제는 전혀 없습니다. 그러므로 Cosmostation Web도 그런 use case를 굳이 막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 후 메디블록팀은… 더 보기 »
눈 높이에 맞는 친절하고, 디테일한 설명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설명해주신대로 케플러 지갑을 실행하여, Cosmos Ledger app을 통해
과거 이용하였던 MED 코인을 확인하였고,
테스트삼아 MediBloc Ledger App으로 새로 생성한 MED 지갑으로 전송도 성공하였습니다.
다만 기존에 Cosmos Ledger app을 통하여 관리하였던 지갑에 MED 코인 대부분이
검증인에 위임되어 있는 상태로 (현재 스테이킹 상태),
스테이킹 되어 있는 MED 코인을 케플러 지갑을 사용하여, 어떻게 기존 위임을 해제하고,
MediBloc Ledger App을 통해 새로 만든 지갑 주소로의 전송이 가능한건가요?
누군가에게는 작은 금액일 수 있지만, 저에게는 지속적으로 모아 둔 큰 금액이라 하루 빨리
컨트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안녕하세요. Keplr는 MediBloc staking 관련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방법을 사용해주셔야 합니다. 현재 공식 제공되는 방법 중에서는 Cosmos Ledger app을 이용해 MED를 undelegate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메디블록팀이 임시 도구를 개발하였습니다. 먼저 앞서 Keplr에 MediBloc이라는 체인을 추가하신 경우 삭제 부탁드립니다. MediBloc이라는 체인 이름 옆에 표시되는 X 버튼을 누르시면 삭제됩니다. X 버튼이 보이지 않을 경우 다른 체인(Cosmos Hub 등)을 선택하신 후 다시 확인 부탁드립니다. 그 후 아래 웹에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https://panacea-cosmos-tmp-web.gopanacea.org/ Ledger를 PC에 연결 후 Cosmos Ledger app을 실행해주세요. Connect Wallet 버튼을 누르시면 Keplr와 통신되면서 MyAddress가 표시됩니다. Cosmos Ledger app을 이용해 컨트롤하시던 지갑 주소와 같은지 확인해주세요. 이 작업까지 완료하시면 Keplr에는…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