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메디패스의 새로운 얼굴
로고의 중요성
브랜딩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서비스의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로고입니다. 서비스의 이름 그리고 특징과 동일한 톤앤매너를 갖추지 못하면, 브랜드가 원하는 이미지를 정확히 전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는 하루에 4,000개에서 1만 개의 로고에 노출됩니다.
하지만, 그중 우리가 기억하는 로고는 몇개 없을 겁니다. 미국 국립눈연구소(NEI, National Eye Institute)에 따르면, 사람의 시각적 인식은 0.1초 안에 결정된다고 합니다. 다양한 기업과 서비스가 유저에게 노출되는 0.1초 사이에 각인되기 위해 기업은 보다 전달력이 높은 수단인 로고를 통해 브랜드의 인상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잘 만들어진 로고는 브랜드에 대한 유저의 서비스 정보 인출 단서가 되며, 시각적 이미지를 동반하므로 문자 정보보다 쉽게 회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출처: h.kim and j.oh, “creating strategic brand logo”, 2012)
브랜드의 로고는 예뻐야 하는 것도 있지만, 서비스의 특성 및 기능과 잘 부합하는 서비스를 비주얼과 함께 지각하기 시작했을때 유저의 머릿속에는 해당 서비스의 기억이 더 오래간다고 합니다.(출처:* S. Oh and H. Kang, “A New Method for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Memorability from Logo Images using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Shap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2015)
이렇게 만들어진 서비스는 로고와 함께 그 감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로고를 꼭 바꿔야했을까?
기존 메디패스의 로고는 보험청구를 ‘빠르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메세지를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번개 모양을 모티브로 제작되었습니다. 번개모양을 모티브로 하다보니 워드마크 또한 각지고 뾰족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덕분에, 유저들은 메디패스의 로고만 보고도 보험청구를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이미지를 연상 시킬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메디패스의 단계는 단순 간편 보험청구 서비스를 넘어 의료정보를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통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단계로 확장했습니다. 그리고 메디패스팀은 서비스의 확장에 맞춰 서비스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의 로고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로고는 주로 텍스트만으로 완성되는 타입로고와 해당 로고를 좀 더 비주얼적인 형태로 보여줄 수 있는 심볼로고가 있습니다. 통상적으로는 타입로고와 심볼로고를 함께 사용하지만, 요즘은 타입로고을 심볼로고와 혼용해서 사용하는 케이스도 많이 있습니다. 메디패스팀은 메디패스 서비스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로고의 형태와 디자인을 선정하기 위해 많은 고민과 시도를 했습니다.

메디패스를 상징할 수 있는 여러 메타포(metaphor)를 가지고 우리가 생각하는 메디패스의 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로고를 선정하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이를 여러 차례 반복하며, 우리는 타브랜드 로고와 겹치지 않으면서도 메디패스만의 특정을 가장 잘 반영한 로고 최종 3개를 선정했습니다.

그리고 이 후보 3가지를 가지고 전사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투표 전에 우리는 전사에 메디패스가 타겟하고자 하는 대상과 목표를 공유하고, 이에 가장 잘 어울리는 로고에 대한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로고를 선정하는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메디패스가 타겟 하고자 하는 대상인 여성에게 어필되는 형태일 것 메디패스의 기능을 잘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일 것(단순 보험청구(x) → 의료슈퍼앱(o)) 메디패스의 키워드를 잘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일 것(편리한/ 간편한/ 깔끔한)

이를 기준으로 선정된 최종 로고는 기존 번개모양을 한 다소 남성성을 띄었던 로고에서 우리가 나아가고 있는 서비스의 방향에 더 가까워진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탄생한 메디패스의 새로운 로고를 공개합니다!
메디패스의 새로운 얼굴

메디패스의 새로운 로고는 medipass 의 ‘p’ 알파벳을 따서 만든 형태로 ‘p’이지만, 동시에 끊임없이 회전하는 원형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원형은 가장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기하학적인 공간입니다.
인간의 시선은 본능적으로 선을 따라갑니다. 원형의 경우, 선이 끝나지 않고 끊임없이 계속된다고 느껴집니다. 이는 끊임없이 성장하고 움직이는 메디패스 서비스를 의미하면서도 의료정보의 완성(completeness)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또한, 메디패스의 로고에는 시작점이 있습니다. 그라데이션의 형태로 시작되는 이 시작점은 의료데이터의 시작 즉, 환자의 생애에 시작에서부터 끝까지를 함께하고 완성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워드마크의 형태 또한 변화했습니다.
기존 워드마크 대비 좀 더 얇고 텍스트의 간격을 넓혀 간편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기존 워드마크는 뾰족하고 각진 번개 모양 심볼에 맞게 모서리가 무겁고 강한 느낌의 서체를 사용하고 직각이 많은 대문자 ‘M’을 사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보험청구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로고는 1:1 비율인 원형의 심볼 형태에 어울리는 서체를 활용하여 직각보다는 곡선이 들어간 소문자 ’m’으로 변경해 서비스의 무한한 가능성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이는 메디패스의 새로운 CI와 함께 표기되어도 이질감 없는 발란스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
의료를 다이내믹하게
브랜드의 컬러는 로고만큼이나 중요합니다. 로고와 서비스를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시각적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예쁜 옷을 입어도 디자인에 맞지 않는 컬러라면, 그 옷의 선호도는 낮아집니다. 컬러를 통해 우리는 흑백으로는 볼 수 없었던 경험을 하고 느낌을 전달받을 수 있습니다.

새로운 로고와 함께 메디패스가 담고자 하는 컬러팔레트 또한, 기존보다 훨씬 다양합니다. 우리는 브랜드의 컬러를 한 가지로만 정의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단순히 보험청구만을 강조하는 형태에서 우리는 의료와 관련된 환자의 생애에 관련한 모든 의료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더 나아가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서비스로 변모했습니다. 다이나믹한 서비스를 다루고 있는 메디패스인 만큼 다양한 컬러를 적용하여 앞으로 생겨날 더 많은 서비스와 경험을 담을 수 있습니다.

상황에 맞는 컬러 사용을 통해, 서비스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합니다. 컬러를 통해 메디패스는 의료정보를 다루는 진중한 서비스에서 때로는 명쾌하고 즐거운 의료생활을 하며, 다양한 도전을 하는 서비스로 다가가고자 합니다.

가져가야 할 것과 버릴 것
고객의 여정과 함께하는 서비스
새로워진 메디패스는 브랜드 뿐만 아니라 서비스 기능 자체에도 다양한 업데이트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메디패스는 현재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환자중심의 의료정보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개발하고 추가해야할 기능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앱 화면 구성은 사용자가 새로운 서비스를 빠르게 인식하고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기존의 메디패스는 진료내역, 보험청구, 사진청구 등의 모든 아이콘이 동일한 형태로 나열된 숏컷(Short cut)형태이기 때문인데요. 숏컷 형태는 사용자들이 추가되는 기능은 바로 알기 쉽지만, 새로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오직 아이콘 만으로 해당 기능을 찾아 진행해야 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이용시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메디패스 팀이 생각하는 ‘간편한 서비스’란, 유저가 노력하지 않아도 유저가 원하는 곳에 필요한 기능이 자동으로 제안되고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합니다. 유저의 모든 라이프사이클에서 함께 하는 서비스로 거듭나고 있는 새로운 메디패스는 그 흐름에서 자연스럽게 유저가 서비스를 사용하기를 원합니다.
그렇게 메디패스는 유저의 간편함을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두고, 메인화면을 대시보드 형태로 변경했습니다.
기능보다는 경험을
건강정보관리 서비스는 유저 개인의 의료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작이 됩니다. 유저의 의료데이터를 전면으로 노출하기 위해 유저에게는 큰 의미를 가지지 못했던 기존 메디패스의 메인 아이콘 화면을 전부 과감하게 없앴습니다. 유저가 메인화면에 위치한 의료정보를 가장 먼저 확인하고 이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메디패스의 핵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기존에는 서비스의 시작에서부터 보험청구를 가장 먼저 사용하게 되는 구조였다면, 이제는 유저가 본인의 의료데이터를 가장 먼저 확인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액션으로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이는 유저가 본인의 의료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하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터득하고, 향후 여러 형태로 데이터 활용 경험을 확장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입니다.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길(Path), 우리의 플랫폼 메디패스
홈화면에서 가장 크게 확인할 수 있는 버튼은 보라색으로 된 ‘진료내역 조회하고 병원비 청구’라는 버튼입니다. 메디패스 사용자는 본인의 진료내역을 불러오기만 해도 그 편리함이 배가 됩니다. 서류없는 보험청구 ‘패스청구’를 경험해 본 사용자는 그 편리함에 놀라고 매우 만족합니다.
하지만 시작하는데 어려움을 느낍니다. 이유가 뭘까요?
어떻게 시작해야하는지 몰랐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새로워진 메디패스는 메디패스 사용자가 편리하게 메디패스를 시작할 수 있게 액션 순위(테스크 순위)가 노출 순위와 일치하도록 배치했습니다. 하지만 액션 순위와 노출 순위는 언제든 바뀔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가져가는 약속은 한 개입니다. ‘보라색’을 따라가세요.
보라색과 함께 한다면, 메디패스의 모든 편리한 건강정보서비스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데이터를 안전하게
병원, 보험사 등 모든 연결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직접 연결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데이터 수요자는 개인에게 전달받은 의료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로 태어난 메디패스는 유저가 보험청구 뿐만 아니라 건강검진 및 증명서 발급 등 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모두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메디패스는 유저가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것에 집중할 수 있도록, 메디패스를 쓰는 사용자들이 본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본인의 가족 건강관리까지 간편하게 이어지도록 할 예정입니다. 메디패스를 통해 유저는 자녀부터 부모님 그리고 배우자의 건강 상태 또한 한 화면에서 간편하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미래에는 메디패스 연동 의료기관 및 보험사를 확장해 나가며, 진료내역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환자 중심 의료정보플랫폼 메디패스의 도약을 기대해주세요.
메디패스 리브랜링 첫 번째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세요~!
👉🏻 메디패스 리브랜딩 스토리 #1. 메디패스는 왜 ‘리브랜딩’을 했을까?
🚀지금 바로 메디패스를 경험해볼까요?

2월초부터 실시가 되었던 ‘특별세무조사’를 지금까지 공개하지 않고 숨겨왔던 이유가 궁금하네요.회사가 숨기는게 있어보이네요…
안녕하세요. 염진석님, (주)메디블록입니다. (주)메디블록은 법적 규정 준수를 항상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 (주)메디블록은 한국 세무당국의 세무조사 대상으로 선정되었고, 이 과정에 성실히 협조하여 조사에 임하고 있습니다. 이번 세무조사는 2017년 법인 설립 이후 첫 조사로, 세무 전문가와 함께 국세청과 적극적으로 소통하여 원만한 조사 진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사에서 언급된 ‘2023년 의료해외진출 프로젝트 지원사업’ 선정 취소 가능성은 없습니다. (주)메디블록은 사업 지원 시점, 발표 시점, 그리고 현재 국세, 지방세 체납 사실이 없으며, 성실히 납세의 의무를 다해왔습니다. 앞으로도 납세의 의무를 다할 것이며, 한국의 우수한 헬스케어 역량을 해외에 알리는데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주)메디블록은 남은 조사 기간동안 세무당국에 협조하여 조사에 성실히 임할 것이며, (주)메디블록의… 더 보기 »
앱은 아쉽지만, 브랜드는 좋네요. 앱 서비스도 함께 성장하기를…!
안녕하세요, 불고기버거님 🙂 응원의 말씀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계속 성장하는 메디패스가 되겠습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봅니다
1.메디블록 로드맵 발표후 일정은 제대로 진행은 되고있는지요?
2.메디블록 코인은 향후 플랫폼내에서 사용가능하다는데 도대체 언제 어떤용도로 사용계획인지 구체적인 시기는 어떻게되는지요?
3.메디블록 거래활성화를 위해서 해외 및 다른거래소에 상장 추진 및 상장 계획은있으신가요? 몇년째 추가상장없으니 궁금하네요.
4.이메일은 원래 답변을 안해주시나요?
안녕하세요, 석정호님. 답변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1. 개발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DEP(Data Exchange Protocol)은 신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로드맵은 외부 여건과 상황에 맞춰 로드맵에 명시된 시기와는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양지바랍니다 2. 메디블록은 메디패스와 닥터팔레트 등 서비스상에서 메디블록 코인이 활용될 수 있는 토큰 이코노미를 수립 및 정비하고 있습니다. 조금만 더 기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메디블록 거래 활성화를 위해 작년 빗썸과 코스모스 생태계 내 최대 규모의 DEX인 오스모시스에 상장을 했던 점 양지 부탁드립니다. 거래소 상장에 대한 사항은 대외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메디블록측은 거래소 상장에 대한 소식 및 계획을 사전에 외부로 공유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메디블록은 지속적으로 거래소 상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시기와… 더 보기 »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봅니다.
1. 토큰 이코노미, 백서와 로드맵을 읽어봐도 잘 이해가 되지않고, 이게 맞는건지도 궁금합니다.
위에서 질문하고 답변하신 정립중인 현실적인 토큰 이코노미 다 나오면 블로그나 공지로 공유해주시나요?
안녕하세요, 블록체인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내용은 https://docs.gopanacea.org github에 관리 중이며, 추후에도 해당 페이지에 업로드 될 예정입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영업안해요? 연동병원이 늘지않네요
안녕하세요 ㅁㅁ님, 병원 연동은 지속적으로 확장 중입니다 🙂 감사합니다.
앱이 열리지 않네요 무슨 일 있나요?
안녕하세요. 메디패스입니다.
4월 8일(토) 오전부터 4월 9일(일) 19시까지 서버 불안정의 사유로 앱 접속 및 데이터 조회가 원활하지 않았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수정 조치를 통해 현재 서비스 정상 이용이 가능합니다. 갑작스러운 장애로 인해 불편을 드린 점 다시 한번 고개 숙여 사과드립니다.
수정 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중이며 이번 장애에 대해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향후 이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성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추가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카카오플러스채널 @메디패스로 문의주시면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크아암 님 안녕하세요.
우선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4월 8일(토) 오전부터 4월 9일(일) 19시까지 서버 불안정의 사유로 앱 접속 및 데이터 조회가 원활하지 않았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수정 조치를 통해 현재 서비스 정상 이용이 가능합니다. 갑작스러운 장애로 인해 불편을 드린 점 다시 한번 고개 숙여 사과드립니다.
수정 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중이며 이번 장애에 대해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향후 이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성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추가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카카오플러스채널 @메디패스로 문의주시면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의료데이터를 사고팔고 하는걸 넘어서 환자들이 진짜 얻고 싶은 정보나 사례들을 공유할수있게 해줘요. 몸 안좋아서 병원가는 사람 대부분이 다른 사람들은 어떤가, 어디병원 어디가 좋은가, 병원비가 얼마나 나오나, 의료기기 뭐 좋은거 없나, 궁금한거 해결하고 싶은게 제일 큰데. 메디블록 코인으로 이런거 정리만 해줘도 앱사용자 폭발적으로 늘건데.
안녕하세요, 우리동네병원님. 말씀주신대로 환자분들에게 더욱 편리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중입니다. 가장 최근 들어서는 ‘처방내역’ 기능을 추가하여 환자들이 약에 대한 정보와 복약지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하였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할 예정입니다. 응원의 말씀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더욱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메디블록 mintscan에서 나오는 add record
https://www.mintscan.io/medibloc/txs/BB2B6602048134D560B4D30A57E89D924B82FEB590FE0A2EE152178424DF90CB
1. 이게 의미있는 데이터일까요?
2. 병원에서 등록하는건가요? 메디블록에서 등록하는건가요?
3. 왜, 주기적으로 add record를 하는건가요? 보통 환자가 주기적으로 똑같은 시간에 오지는 않을 것 같은데요 그렇다고 병원이 주기적으로 add record를 똑같은 시간에 하지는 않을 것 같은데 설명이 가능할까요?
4. 병원에서 데이터를 등록하는 방식이라면, 블록체인에 add record 병원에서 수수료를 담당하나요? 트랜잭션 owner address 를 들어가면 10000개 정도의 메디블록이 있는데 메디블록에서 제공하는 건가요? 병원이 사가는 건가요? 의무적으로 병원이 등록하는건가요? 환자가 요청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메디 주주님.
1. 해당 transaction은 환자가 메디패스를 이용하여 메디패스와 연동된 병원에서 진료내역을 메디패스로 갖고오고자 할 때 기록되는 transaction으로 갖고오게되는 data의 hash값을 기록하는 transaction입니다.
2. 메디패스와 연동된 병원에서 등록하게 됩니다
3. 해당 transaction은 메디패스 이용자(환자) 요청 시에 진행되는 transaction입니다. 70만명 이상의 메디패스 유저들이 진료기록을 불러올 때마다 add record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4. 수수료는 현재 메디블록에서 블록체인 상의 대납 기능을 이용해 대납중이며, 메디패스와 연동된 병원이 메디패스로부터 해당 요청을 받으면 자동적으로 transaction이 수행되게 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특별 세무조사 진행상황이 궁금하네요. 세무조사는 마무리된 건가요? 아니면 아직 진행중인 건가요? 만약 아직 진행 중이면 어떤 이슈가 있어서 세무조사가 길어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메디메디님. 메디블록 팀입니다.
(주)메디블록은 세무당국에 성실히 협조하여 조사에 성실히 임하였고, 세무조사는 종료되었습니다. (주)메디블록은 앞으로도 법적 규정 준수를 항상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사업을 운영하겠습니다.
지속적인 지지와 관심에 감사드리며, 앞으로 더욱 발전하는 메디블록 팀을 지켜봐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