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마워요 메디웨건!

고우균 대표의 AMA 총정리!

메디블록 medibloc Ask me anything AMA
반갑다!!! 내 소개를 하도록 하지!!! 나는 설명쟁이, 메디웨건! 코인판 밑바닥에서부터 널 따라왔지! 설명을 시작해볼까?
나는야 설명쟁이 메디웨건!

안녕하신가! 메디블록을 사랑해주는 제군들!

6월 26일, 텔레그램 글로벌방과 한국방에서 고우균 대표의 AMA(Ask Me Anything)가 진행 되었다네.

시간이 없어서 AMA를 보지 못한 메린이들, 그리고 스크롤 압박으로 인해 AMA를 다시 보기 두려운 메린이들을 위하여 메디웨건이 중요한 부분만 쏙쏙 뽑아 친절한 총정리를 준비했다네. 질문의 종류에 따라 메디웨건이 내용을 재구성 했으니 쉽고 편안하게 AMA내용을 살펴보도록 하세!

<메디패스 관련>

Q. 현재도 실손 보험 청구가 바로 되는 케이스들이 있는데, 메디패스가 기존 업체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말씀하신 것처럼 연결된 업체가 제한적인 부분에 있어서 저희가 기존 서비스보다 빠르게 파트너사를 늘려나감으로써 실제 사용 범위를 늘리는 것, 그리고 실제 앱 자체의 사용성 측면에서 기존 솔루션 대비 60% 이상 단계가 단축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실제로 메디패스를 기존 업체들과 비교해 봤을때 연계 파트너 구성에서 저희가 훨씬 앞서있다고 자부합니다. 또한 저희는 서비스 연계와 관련하여 알고 계시는 대부분의 병원들과 논의를 진행중입니다. 기존 업체 서비스들과의 차별점은 결과로 보여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블록체인 관련>

Q. 메디블록의 메인넷 구동은 언제인가요?


메인넷은 메디패스 소식과 함께 알려드렸듯이 메디패스 서비스 런칭 전에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서비스 파트너들과 조율하는 부분 때문에 메인넷 구동 시기가 좀 늦춰지긴 했지만 진행한다는 점에서는 변화가 없습니다.

Q. 메인넷 런칭 후 BP 선출 전에는 메디블록 팀이 노드 운영을 직접 하실 예정이라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BP 보상으로 얻게 되는 메디코인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BP 선출 전에는 채굴 보상이 없거나, 있더라도 소각 또는 홀더분들에게 메디코인을 분배할 예정입니다. 또한 토큰 스왑 전까지는 실질적으로는 메인넷 위에서 유통되는 토큰이 없다고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Q. 메인넷 시점에 메디블록 자체 암호화폐 지갑이 함께 나오는 건가요?


메인넷은 실상 현재의 테스트넷을 리셋하는 형태이기에 별도의 앱 형태로는 지원이 안되지만 이미 자체 메디블록 테스트넷 지갑은 구현되어 구동 중입니다.

Q. 메인넷 구동과 토큰 스왑 간 일정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토큰스왑이 더 미뤄지진 않나요?


메인넷은 자체적인 결정에 따라 언제라도 가능하지만, 토큰 스왑은 거래소와의 협의가 필요한 부분이라 둘 사이에 타임 갭이 존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실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저희가 네트워크를 가동하는 것이 필수이기에 토큰 스왑 이전에라도 네트워크 구동을 먼저 진행한다고 얘기드릴 수 있겠습니다.

또한 연말로 예정되어 있는 일정은 저희가 마지노선으로 잡고 있는 일정입니다. 그보다 더 밀릴 일은 없고, 가능한 선에서 최대한 당기고자 합니다.


P.S. 메인넷 구동과 토큰 스왑 간 일정 차이가 나는 이유는 여기에도 자세하게 나와있다네!


<사업 관련>

Q. 다음 대형 병원 협약은 삼성서울병원인가요?


삼성서울병원과는 긴밀하게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삼성서울병원에서 비슷한 서비스가 나온다면… 1순위는 무조건 메디블록일 것이다- 라고 얘기 드릴 수 있겠습니다.

Q. 메디블록이 국내에서는 가장 유망한 의료 코인으로 알고 있고, 국내 대형 병원들과 협업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가 아닌 해외병원이나 해외 회사에서 현재까지 들어온 투자 문의는 없나요?


저희 스스로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의료 분야에서는 저희가 가장 빠르게 앞서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케이스들도 가장 먼저 만들어낼 것으로 생각합니다. 🙂 투자 관련 문의는 많습니다.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진행해 나가고자 합니다.

Q. 2017년 사업을 시작하실 때와 비교해서 현재 정부의 시선과 규제에 대해서 변동된 것이 있나요? 특히 시민 단체에서 마이데이터 사업은 잡음이 조금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에서 프로젝트를 하는 데 어려움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변화에는 항상 저항이 있기 마련이라고 생각합니다. 큰 틀에서는 2017년도와 비교해 큰 차이는 없으나 세부 구성원들 레벨에서 많은 인식 변화가 있었습니다. 덕분에 저희가 한 걸음씩 지속해서 내디딜 수 있는 상황이 마련되었습니다. 이의 연장 선상에서 저희는 저희 혼자 일을 진행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참가하는 등 정책 관련 영역에서도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민단체들과도 지속적으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일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부분이 큰 틀에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Q. 과거에도 환자 본인이 자신의 의료정보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에 대한 시도가 있었는데, 매번 실패했던 것이 기술적인 측면보다 제도적인 장애물이 더 크게 작용한 것 아닌가요?


과거에 있었던 대부분 기존의 시도는 환자 본인이 보관하는 게 아니라 제3자가 대리로 보관을 해주던 형태였습니다. 그리고 그 데이터에 대해 해당 제3자가 열람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 부분이 개인정보 관련 큰 이슈를 가져왔고 기존 사업이 실패한 여러 원인 중의 하나입니다.

현재의 법으로도 저희가 기획하고 있는 형태의 데이터 전달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오히려 기술적인 부분에서 여러 참여자들을 설득하고 실제 기술을 도입하게 할만한 여건이 마련되지 않았던 것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실생활 관련>

Q. 메디코인의 실생활에서의 사용은 어떻게 되나요?


메디코인의 사용처에 대해서는 메인넷 운영과 관련된 부분 외에는 저희가 제공하게될 서비스 내에서 기본적으로는 인센티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 연계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암호화폐 결제시장 성장과 함께 사용처는 더욱 확장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AMA가 진행되는 한 시간 동안 메린이들과 고따거(고우균 대표님을 고따거라고 부르더군..)의 아주 유익한 질문과 답변이 오고 갔다네. 앞으로도 궁금한 점이 더 생긴다면 언제든! 블로그에 댓글을 달아주면 고따거 못지 않게 열정적으로 댓글을 달아주도록 하겠네.

모두, 곧 실생활에서 사용될 메디패스를 기대를 가지고 기다려주게나! 공지글에서도 말했듯이 메디패스는 현재 다양한 보험사와 병원들로부터 러브콜을 받고 있다네. 메디패스가 어떤 병원들과 함께하는지 궁금하다면 메디패스 페이스북 페이지 , 메디패스 인스타그램를 방문해보는 것도 좋을 걸세. (속닥속닥)

그럼, 다음엔 좋은 소식과 함께 찾아오도록 하지! ADIDAS!

메디패스 페이스북 실서비스 공지사항
Tags:
0 0 votes
Article Rating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글에 대한 질문, 응원은 큰 힘이 됩니다!

21 Comments
가장 오래 전
최신 최고인기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amy
amy
관리자
4 년 전

메디패스 너무 기대가 됩니다!

응원합니다
응원합니다
4 년 전

정리 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서비스가 역시 가장 기대 되네요^^

홍봉칠
홍봉칠
4 년 전

가즈아!!!

메디가즈아
메디가즈아
4 년 전

AMA가 있었군요..^^ 못봤었는대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메디는 사랑입니다
메디는 사랑입니다
4 년 전

응원합니다~~~!!

제임스
제임스
4 년 전

거래소관련해서 소식은 없나요? 해외 거래소소식뿐만아니라 국내 거래소라도요

김승욱
김승욱
4 년 전

토큰 스왑시에 교환비율이 1:0.5로 되어 있는데, 메디나 메디액스나 총 발행량을 합해도 64억개 가량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홀더들은 반토막으로 스왑 받는 사실에 대해 불안감과 손해 보는 느낌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가격이 급상승하고 있는 것도 아닌 점 등
스왑시에 총 발행량에 대한 1:1 교환 방법으로 변경할 여지는 없는 지요?

MEDIBLOC BLOG
관리자
Reply to  김승욱
4 년 전

안녕하세요 김승욱님! 문의하신 내용 답변드립니다. 토큰 스왑 비율은 1:0.5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QRC20 기반인 MED의 실제 유통량과 정확히 동일한 갯수의 ERC20 기반 MEDX가 에어드랍 됐기 때문입니다. 실 유통량이 딱 2배가 된 것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향후 메디블록 토큰 스왑 비율은 쉽게말하자면 입니다. 더군다나 스냅샷 시점에서 MED를 보유중이던 홀더 중 에어드랍을 신청하신 분의 수량만이 MEDX로 에어드랍 됐고, 신청되지 않은 42,612,518 MEDX는 19년 6월 4일, 전체 소각처리 됐습니다. MEDX 에어드랍 미수령량 소각완료 👈링크 확인! 스냅샷 시점 이후에 MED 또는 MEDX를 거래소에서 매수하신 홀더분들은 승욱님의 말씀처럼 손해보는 느낌을 가지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1:1 비율로 스왑을 하게 된다면 시장 유통량은 실제 유통량의… 더 보기 »

메린이
메린이
4 년 전

토큰 스왑을 서비스 개시보다 미룬다는게 이해가 안가는데요;;
무슨 전세계 투자자 얘기 하시는데 솔직히 국내병원/보험에 관련해서 사업 진행 중인데 전세계 얘기하는 건 그냥 핑계로 보이구요.
거래소 확보도 업비트면 국내에서 제일 많이 사용하는 거래소인데, 이정도면 충분한거 아닌가요?

오히려 토큰 스왑도 안해놓고 서비스를 돌리겠다는건 다른 말로는 토큰 없어도 되는 서비스라는 뜻인데;;
토큰 투자자들이 투자한 돈은 이미 받았으니 메디팀이랑 상관없다. 망해도 좋다 뭐 이런건지… 심히 불편합니다.

MEDIBLOC BLOG
관리자
Reply to  메린이
4 년 전

안녕하세요 메린이님! 메디블록 팀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답변 드립니다. 아시다시피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대형 거래소 확보는 유동성 확보에 매우 큰 역할을 합니다. 국내 1위이며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거래규모의 업비트에 메디블록이 상장되어 있음은 말씀하신대로 충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거래소는 신규회원가입 및 신규자금유입이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리고 거래소별 락인 효과가 있기 때문에 국내 타 거래소에서 자금유입도 그리 많은 편이 아니지요. 이러한 상황에서 해외 거래소 상장은 중요한 목표가 될 수 있습니다. 호재 발생 시 가격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더 생길 여지도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메디블록 팀에게도 좋은 일이지만, 홀더 여러분들에게도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메디블록의 현 사업 진행이 국내에 한정된다고해서 암호화폐의 거래도 국내에 한정되는 것은 다른 것이지요.… 더 보기 »

오라메디
오라메디
4 년 전

안녕하세요. 현재 메디를 연구목적으로 사용한 것 자체는 불법이 아니지만,
메디를 실사용하게 되면 의료법 위반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가기관 주도로 시행되는 의료데이터 빅데이터 사업도 연구단계는 괜찮으나, 실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실사용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해결할 생각이신가요?

MEDIBLOC BLOG
관리자
Reply to  오라메디
4 년 전

안녕하세요 오라메디님!

저희 프로젝트의 어떤 부분에 의료법 위반요소가 있는지 명확하게 문의주시면 답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에 앞서 메디블록은 사업 개발 시 법 위반 소지가 있다면 아주 사소한 부분이라도 법무법인의 검토를 받으며 진행하고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옥이요
옥이요
4 년 전

그런데 메디토큰의 용도가 뭔가요? 스테이킹도 아닌거 같고 트랜잭션을 하기위해 지불하는 수수료도 아닌거 같고.. 위의 ama에서 부가서비스나 인센트브에 활용될것이라고 적으셧는데 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토큰의 용도를 좀 더 정확히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옥이요
옥이요
Reply to  옥이요
4 년 전

‘블록체인의 네트워크의 가치가 커질수록 그 네트워크의 보안과 합의 역할을 하는 토큰의 가격이 커진다’ 정도로 토큰투자의 이유를 이해하고 있거든요. 그런데 그런 내용이 메디코인에서 잘 안찾아져서요.

메디코인에 투자참여 생각 중인데 생태계상 토큰의 역할 좀 더 설명 부탁드립니다.

MEDIBLOC BLOG
관리자
Reply to  옥이요
4 년 전

안녕하세요 옥이요님! 메디토큰의 용도를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메인넷에서는 메디블록 코인 ‘MED’라고 지칭합니다.) 최근 저희 메인넷 패너시어를 공개하면서 노드 구성 및 블록 생성 방식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었는데요, 링크 : https://blogmedibloc.org/timeline/news/notice/5225 내용을 읽어보시면, 노드(검증자)로 참여 시 메디블록 코인 보유 수량 (+투표 받은 수량)에 따라 블록 검증자로 선정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블록 생성으로 얻을 수 있는 보상 또한 커지게 됩니다. 잘 알고 계시듯이, 블록체인에서 보상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통용되는 ‘암호화폐’로 주어지게 됩니다. 패너시어에서는 위에서 설명 드린 것 처럼 블록 생성시에도 보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일반 사용자들이 트랜잭션을 만들 때 발생하는 네트워크 이용료 (수수료) 역시 스테이킹 비율에 따라 일부를 분배 받게 됩니다. 일반… 더 보기 »

Twitter
Twitter